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7부 전통주의 제조방법 (2)전통주의 제조방법 (2) 2. 술 담그는 절차 ④ 술빚기와 발효 술밥과 누룩이 준비되면 오염이 되지 않도록 끓여 식힌 물이나 금방 길은 샘물로 술밥과 도토리알 만하게 부순 누룩가루를 함께 버무린 다음 술독에 켜켜로 넣어 술을 빚는다. 이때 술을...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6부 전통주의 제조 방법 (1)전통주의 제조방법 (1) 1. 전통술 제조 방법 우리나라의 전통술의 제조방법은 거의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전통술을 빚기 위해서는 먼저 누룩을 잘 디뎌야 한다. 통밀을 부수어 물과 함께 반죽해서 덩어리지게 하여 약 6개월간 발효시키면 속속들이...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1분 분량제5부 전통주의 재료전통주의 재료 1. 누룩 술제조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누룩을 만들어 자연계에서 생육시켰다. 누룩의 품질은 술제조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2. 누룩이란?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발효제로서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4부 전통주의 특성전통주의 특성 1. 한국의 전통술은 중국술처럼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하지 않는다. 전통술은 일본술처럼 섬세하지도 않다. 보드카처럼 독하지도 않다. 그러나 과실주가 아닌데 도 느껴지는 은은한 향, 자연스런 빛깔, 같은 알코올 도수라도 유난히 부드러운...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3부 한국의 전통술 (2)한국의 전통술 (2) 3) 청주 : 청주는 백미로 만드는 양조주로서 탁주와 비교하여 맑은 술이라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청주는 음료로서 사용되지만, 육류와 생선요리 등 각종 요리에 조미용으로도 사용된다. 청주는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진 한국의...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2부 한국의 전통술 (1)한국의 전통술 1부 ♠전통주의 의미 인간이 사는 곳에는 언제, 어느곳에나 술이 있었다. 사람이 모이면 술을 빚었고 술이 있으면 사람이 모이고 문화가 싹텄다. 술은 사람을 기쁜게 하고 시름을 잊게 하며 마음의 문을 열어 주기에 술잔을 가운데 두면...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2분 분량제1부 한국술의 역사한국술의 역사 술의 본래 말은 ꡐ수블/수불ꡑ이었다. 고려시대의 「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화자(酉禾字),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는 ꡐ수본(數本)ꡑ으로 되어 있고 조선시대 문헌에는 ꡐ수울ꡑ 또는 ꡐ수을ꡑ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1분 분량생활속의 소주 내리기직접해보는 술빚기 - 집에서 내리는 소주 ♤ 준비물 막걸리 5되(9리터), 물 3되(5.4리터), 들통이나 솥, 시루, 대야, 큰 대접, 밀가루 반죽 약간 ♤ 소주내리기 1. 막걸리, 청주나 시어져 마시지 못하는 술등을 준비한다. 2. 들통이나...
전주전통술박물관2023년 11월 24일1분 분량가양주 문화와 역사가양주(家釀酒)’란 의미 그대로 집에서 담근 술을 가리킵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가정에서 술을 빚어 마시는 풍습이 뿌리를 내려왔습니다. 지방에 따라, 가문에 따라 또 빚는 사람의 솜씨에 따라 갖가지 방법과 기술을 발휘한 가양주들이 등장하여 맛과...